긴급재난지원금의 소득 기준이 최종적으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긴급재난지원금 신청의 최종 지급 기준은 4인 가족 기준 건강보험료 23만 7천원입니다.
즉, 지난달(3월)의 4인 가구 지급 기준 건강보험료(건보료)가 직장가입자가 23만 7,652원 이하인 경우
최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건강보험료 기준 시점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득 기준의 해당 시점이 있을텐데요.
깔끔하게 지난 3월, 그러니까 2020년 3월의 건강보험료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즉, 3월 건강보험료의 본인 부담금이 4인, 직장인 기준 23만 7,652원 이하인 경우에 긴급재난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 피부양자와 지역가입자의 기준 건강보험료가 다 다릅니다
가입 유형별로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득 기준 건강보험료가 다 다르니 꼭 확인하세요!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은 가구도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원금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득 기준에 부합한다면 가구별로 지원 수준이 다릅니다.
1인 가구 - 40만원
2인 가구 - 60만원
3인 가구 - 80만원
4인 가구 이상 - 100만원
긴급재난지원금 재산 기준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재산 기준으로는 종합부동산세 여부가 유력하다.
종부세 내시면 건보료가 낮아도 긴급재난지원금 못 받게 됩니다.
긴급재난지원금 가구원 수 기준
긴급재난지원금에 줄때 가구원 수에 대한 기준도 확실하게 해야할텐데요.
지난달, 그러니까 3월 29일 기준의 세대별 주민등록표 상 가구원을 적용합니다.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동거인은 다른 가구로 보고, 피부양자로 등록된 배우자와 자녀는 주소지를 달리하더라도 동일 가구로 보게 됩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시기
긴급재난지원금의 지급은 최대한 빨리 해서 금년 5월에 지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5월보다 조금 더 늦으질 가능성도 있겠네요.
관련 공무원분들 많이 바쁘시겠어요.
긴급재난지원금 예외 사항
- 부자, 즉 재산이 많은 사람은 지급하지 않을 예정이나 그 기준은 나오지 않음
- 최근 급격히 소득이 줄어들었으나, 건보료에 반영되지 않은 소상공인 등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별 여건에 따라 신청 당시 소득상황을 반영하여 지원 여부 판단
이상입니다!
긴급재난지원금의 기준인 건강보험료(건보료) 꼭 확인하셔서 챙겨 받으세요!
'생활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재난 긴급생활비 지원 신청 방법(서울 재난기본소득 신청) (0) | 2020.04.06 |
---|---|
서울사랑상품권 혜택, 사용방법 및 사용처 (0) | 2020.04.04 |
한국판 무제한 양적완화의 구체적 효과(현금가치 2% 하락) (0) | 2020.04.02 |
긴급 재난지원금 기준 소득 확인 방법(feat 복지로 모의계산) (0) | 2020.03.31 |
복지로는 현재 재난지원금 모의계산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0) | 2020.03.31 |
댓글